ETC 17

윈도우노트북에 유용했던 단축키와 터치패드 그리고 기능들

대략 3년? 정도 사용한 노트북 asus 젠북(ux434) 13인치 인텔 i7 10세대 램 16기가 하드 1 테라 그래픽카드 mx240 공부용 노트북을 하나 장만하고 싶어서 13인치 모델들 중에서 사려고 했고... 이것저것 보다가 저 터치패드가 터치패드 기능만 되는 게 아니라 모니터도 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게 너무 신기해서 샀었다. (현재는 13인치는 더 이상 팔지 않는 듯하다.) 일단 본론부터 말하면 이 노트북을 쓰면서 마우스는 쓰지 않았다. 터치패드 쓸 때 느낌이 지금까지 쓰던 노트북들보다 사용감이 좋았던 것도 있긴 하지만, 윈도우 노트북에서 제공하는 터치패드 제스처와 각종 단축키들을 사용을 하다 보니 마우스는 딱히 필요가 없었다. 그리고 주변에 생각보다 사용 가능한 단축키나 제스처의 기능들..

ETC 2022.02.12

2021년 그리고 2022년

2017년부터 웹 개발자를 시작했고, 그중 가장 빨리 간 1년인 것 같다. 나름 올해 목표로 잡았던 1일1커밋, 1주일에 블로그 글 1개, 프레임워크 공부, 프로그래밍 관련 책 읽기 중 크게 성공을 한건 프레임워크 공부밖에 없는 것 같다. 1. GitHub 4개가 빵꾸가 나긴 했지만 그렇다고 완벽한 커밋은 아니긴 했다. 습관을 들이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은 날도 커밋을 넣어서 매꾼날도 좀 있다. (none으로 커밋한 부분) 아무것도 안하고 커밋한 날은 자주 작업하는 레파지토리에 안 한 날짜를 기록하는 파일을 두고 작성을 했고, 안 하려고 하는 날이면 그거보고 오늘은 하자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나름의 나태해지지 않기 위한 방안이었다...) 그래도 그런것 치곤 생각보다 안 한 날이 많긴 했다. 이번 ..

ETC 2022.01.01

MongoDB와 ElasticSearch 테스트 (용량, 속도)

테스트 환경 windows10 pro (라데온 3600에 램 32기가 지포스 2070 슈퍼) docker desktop for windows 도커 이미지는 몽고디비 lastest (테스트 collection의 모든 필드에 index를 지정해줌) 엘라스틱 7.12.0 버전 (테스트 인덱스의 샤드는 1 리플리카는 0) 이렇게 사용했고 본인 컴퓨터에다가 이미지를 실행시켜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 방법 둘 다 동일한 형태로 동일한 데이터 100만 건을 넣어서 처리시간 및 용량 체크를 해봤다. 데이터 필드는 날짜 포맷 2개, 단순 텍스트 포맷(몽고: String, 엘라스틱: keyword) 8개, 숫자 포맷 5개 이렇게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를 넣을 땐 둘 다 bulk 기능을 사용했다. 한번 bulk 할 때 5..

ETC 2021.03.25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서로 다른 두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해 만든 프로토콜 HTTPS는 TCP 대신 전송 계층 보안(TLS:Transfer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HTTP TLS은 OSI 7 계층 중 네 번째에 해당하는 전송 계층의 TC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HTTPS를 사용하는 이유 HTTP의 패킷을 까보면 클라이언트가 보낸 모든 내용을 볼 수 있다. 제삼자가 이 정보를 볼 수 있으며, 메시지를 원하는 형태로 변조할 수 있으므로 서버가 해킹될 위험도 있다. HTTPS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제삼자가 볼 수 없다. ..

ETC 2021.01.15

RESTful API

REST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분산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태를 가리킴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메시지를 주고받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규격 RESTfull : REST의 조건을 만족한다. 요청 주소와 메서드(GET, POST 등), JSON 규격을 이용하여 API를 정의하고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이기 때문에 오늘날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한다. 정해진 표준이나 규격이 없어서 구현하는 사람에 따라 형태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API 요청 주소에 버전을 넣는것을 고려하자 예) http://localhost:8080/v1/getList 메서드 : API 동작 POST :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 PUT/PATCH : 기존 객체를 업데이트할 때 ..

ETC 2021.01.15

해시 함수 (hash function)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보안을 책임지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데이터양이 많아져도 일괄된 성능을 보장하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고, 민감한 데이터의 변조를 막을 수 있다. - 처리 방식 변환 전 변환 변환 후 변환 하기 전 데이터 값을 입력값이라 부름 변환 하는 걸 해싱 이라 부름 (해시 함수를 사용) 변환 된 데이터 값을 해시값이라 부름 입력값으로 문자, 숫자, 바이너리 등을 사용 - 입력값을 바이너리 형태로 반환 알아두기! 1. 입력값이 동일하면 변환된 해시 값이 동일하다. 2. 입력값의 길이와 상관없이 변환된 해시 값의 길이는 항상 동일하다. 3. 서로 다른 입력값으로 동일한 해시 값을 만들 확률은 낮다. 4. 출력된..

ETC 2020.12.31

UUID - 범용 고유 식별자

UUID란?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고유한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값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여러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 구조 하이픈(-) 4개와 16진수 32개로 구성 8개-4개-4개-4개-12개 하이픈은 값을 읽기 편하게 추가한 구분자다. 때문에 생략하는 경우도 많음 저장할 때는 하이픈을 제외하고 저장 알아야 할 것. 16진수 하나를 표현하는데 4비트(0.5 바이트)가 필요 총 128비트(16바이트)가 필요 많은 식별자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부 값만 랜덤 하게 생성해서 사용 버전 1, 2, 3, 4, 5 버전이 있으나 오늘날 대부분의 시스템은 버전 4 UUID나 이를 기반으로 직접 정의한 UUID를 사용

ETC 2020.12.28